"더 위치(The Witch)" 영화 및 정보 줄거리
2015년 '로버트 에거스'가 감독한 '마녀'는 초자연적인 공포와 역사적 진실성의 독특한 조화를 콘셉트로 만들어졌습니다. 최근 들어서 그 주제에 대한 흥미로움을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다 보니 이 영화 또한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이 영화의 정보와 줄거리등을 보면서 어떤 매력이 있는지 파헤쳐 보겠습니다. 17세기 초 불안한 배경으로 뉴잉글랜드의 황무지 깊숙한 곳으로 우리를 초대합니다. 이야기는 울창한 숲 가장자리로 추방되어 스스로 목숨을 부지해야 하는 청교도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들이 새로운 삶을 살아가려고 할 때마다 숲에 숨어 있는 악의 세력들은 그들을 괴롭힙니다. 이 영화는 종교적 히스테리에 대해 거침없이 연구하고 탐구합니다. 독실한 종교를 가진 가족은 초자연적인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의심하면서 두려움과 편집증을 겪습니다. 이를 통해 종교적 독단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것이 어떤 식으로 광기와 광신에 이르게 되는지도 보여줍니다. 이로써 관객들은 이러한 매우 불안한 세계에 더 몰입하게 되고 그것이 공포로 다가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영화의 가장 주목할 업적 중 하나는 분위기를 능숙하게 사용한 것입니다. 숲 자체가 이야기의 등장인물이 되고 기술적인 촬영기법과 사운드 디자인에 의해 그 섬뜩함은 고조됩니다. 등골이 오싹해지는 음악적 신호를 동반한 영화의 느린 접근은 서서히 밀려오는 공포감을 조성하며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상상인지 의문을 갖게 합니다. 요약하자면 '마녀'는 분위기의 힘, 역사적 정확성, 심리적 공포를 증명하는 작품으로 매력적인 서사와 디테일에 대해 궁금하고 고전 공포영화를 즐기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영화 등장인물
초자연적인 공포로 영화를 이끄는 주요 등장인물들을 소개합니다. 토마신 역할은 '안야 테일러 조이'가 연기했으며 토마신은 영화의 중심인물입니다. 영화에서 불안한 사건들의 중심에 항상 자신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십 대 소녀입니다. 그녀는 착하고 동정심 많으며 지적인 청교도 가족의 장녀입니다. 상황이 진행되면서 그녀의 결백에 의문점이 생기며 심각한 변형을 겪습니다. 윌리엄 역으로 '랄프 이네슨'이 연기했고, 토마신의 아버지이자 청교도 가족의 가장입니다. 그는 신앙심이 깊으며 독실한 믿음과 자부심이 강하지만 그 때문에 가족들을 혼돈의 상태로 몰아넣습니다. 캐서린 역으로 '케이트 디키'가 연기했으며 토마신의 어머니입니다. 독실한 그녀는 가족이 어려움과 혼돈의 상태에 빠질 때 이를 헤쳐 나가려고 발버둥 치는 모습으로 두려움과 공포를 고조시킵니다. 그 밖에도 케일럽(하비 스크림쇼), 머시와 조나스(엘리 그레인저와 루카스 도슨)등이 등장합니다. '마녀'의 등장인물들은 다차원적이고 종교적인 폭력성과 절연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을 잘 표현하며 영화를 풍성하게 만듭니다.
국내해외반응
'마녀'는 공포에 대한 독특한 접근법과 주제가 주는 그대로의 느낌으로 많은 관심과 반응을 얻었습니다. 먼저 한국에서의 반응으로 네이버 평점 6.00점이라는 다소 아쉬운 점수를 받았습니다. 10대와 30대가 주로 점수를 주었습니다. 네티즌들의 댓글 반응으로는 "난 괜찮았다 음악이 소름", "오래된 무서운 옛날 동화를 보는 것 같다", "지루하다" 등 다양하고 엇갈린 반응이었습니다. 미국에서는 로버트 에거스 감독의 드라마틱 오더를 받으며 북미에서는 크게 화제가 되었습니다. 비평가들은 느린 전개로 인한 공포스러움을 칭찬했습니다. 해외반응으로는 국제 카니발에 초청받아 런던 영화제, 토론토 국제 영화제, 칸 영화제 등에 상영되었고, 다채로운 개봉 정도가 이 영화의 성공의 지표가 되었습니다. 더불어 '마녀'는 2016년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에서 의상 디자인상을 수상했으며, 인디펜던트 스프릿 어워드에서 로버트 알트먼 상을 받았는데 이 상은 그들의 특출 난 업적으로 훌륭한 캐스팅, 감독, 디렉터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이 밖에도 새턴 어워드 공포영화상, 여우주연상, 감독상 후보에 올랐습니다. '마녀'는 국내외 관객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대중적인 공포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비평가들의 호평과 수상 인정으로 현대 공포물로 자리 잡았습니다.